2014년 8월 29일 금요일

웹 로그분석 항목

기본적인 로그분석 항목
  • 하루 방무자 수(Daily visitor)
  • 평균 전환율(판매, 등록, 다운로드 등) (Average conversion rate)
  • 최다 방문 페이지 (The most visit page)
  • 웹사이트 평균 방문 시간, 재방문율(Web site average visit time, revisit)
  • 평균 방문 심도(Depth), 리퍼러(Referrer)별 편차
  • 지역별 분포, 사용언어(Region rate, language)
  • 사이트 방문 시간(Site stay time)
    사이트 방문자가 계속 체류하는지, 아니면 단일 페이지 방문 후 바로 사이트를 떠나는 지 여부

전자상거래의 경우(case: e-commerce)
  • 웹사이트가 벌어들이는 수익과 고객의 유입 출처
    (profit through website and customer inflow URL)
  •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과 평균 주문 수량
    (To have it be a No.1 sale and average order)

추가적인 로그분석 항목
  • 방문자 1인당 가치
  • 웹페이지당 가치
  • 신규 방문자 대비 재방문자의 ROI 차이
  • 마케팅 매체나 광고 캠페인 소스에 따른 사이트 방문과 전환율 차이
  • 페이지뷰 또는 리퍼링 소스(Referring source)에 따른 이탈률 차이
  • 사이트 방문자의 참여 정도
  • 사이틑 내부 검색의 전환율 도움 여부
  • 방문자가 고객이 되기까지 소요되는 방문 횟수와 소요 시간

웹사이트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방문자의 사용자 경험이며,
웹 로그 분석 도구는 사용자 경험을 신층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한 가지 명심할 점은 웹로그 분석은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또한 방문자의 행동 패턴이 어떤지, 웹사이트 상의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되는지는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리포트 분석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
전문가를 고용한다든가 기존 직원을 교육한다든가,
외부 컨설턴트를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든가,
아니면 이 모두를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브라이언 클리프톤.『구글 애널리틱스』. 에이콘. 201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