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7일 일요일

시장성 분석의 평가 요소

가능한 한 폭넓게 시장 분석 범위를 결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 범위가 지나치게 넓을 경우 비전문가에게는 한계가 있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조사 책임자가 나름대로 적정한 버위를 정하여 진행할 수 밖에 없다.

출처: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 김우명, 청어, 2004

시장 조사의 순서

시장성 분석의 일반적 순서

1. 분석 대상의 명확화(목표 설정)
2. 분석의 설꼐(분석 계획 수립)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해석, 정보 도출
5. 보고서 작성(시장성 유무 평가, 판매 전략 수립)



<1> 분석 대상의 목표 설정

1. 시장동향 분석
전체 시장 규모, 경쟁 제품과 유사 제품에 대한 시장 분석, 소비자 분포 또는 변화 경향 등을 분석한다.

2. 경쟁적 지위 분석
품질 수준, 경쟁 제품과의 비교, 특성 파악, 경쟁 회사의 재무 상태와 영업 실적 등을 수집하여 분석한다.

3. 수요 예측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 현황, 제품별 판매 가능 수량 추정, 시장(제품) 환경 분석, 판매 전략 수립 등을 분석한다.



<2> 분석 계획 수립

1. 분석 항목의 범위와 수준 결정:
조사자의 능력과 분석 계획 기간에 견주어 적절한 항목을 선별하고, 창업자 자신에 의한 약식 분석이냐 전문 기관에 의한 정식 분석이냐를 결정한다.

2. 자료 수집 범위, 수집 대상과 자료 수집 방법의 결정:
정부, 업계의 통계 자료, 학계의 연구 자료, 자체 설문 조사 자료 등을 수집한다.
이 때는 자료의 타당성, 공평성, 신뢰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3. 소요 인력, 분석 기간과 소요 예산 계획을 수립한다.

4. 수요 예측 방법 결정:
자가 판단법, 설문 조사에 의한 예측법, 과거 통계 자료에 의한 시계열 분석법 중에서 수요 예측 방법을 결정한다.

5. 시장성 분석의 일정 계획:
사업 개시 시점을 고려하여 여유 있게 계획을 수립한다.



<3> 자료의 수집

1. 이미 존재하는 자료:
정부 기관과 단체, 업게의 협의나 조합, 금융기관, 대학, 연구 기관 등의 발간 자료 등을 수집한다.

2. 자체 수집 자료:
경쟁자, 정부 기관, 협회나 조합,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전화 면담, 방문 면담 등을 통해 수집한다.



<4> 자료의 분석, 해석, 정보 획득

수집된 자료는 편집, 통계적 처리 등의 분석 과정을 통해 목적에 맞게 재생산 된다.
재생산된 자료는 시장성 유무와 판매 전략 수립 근거로 활용한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객관성이 있는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5> 보고서 작성

1. 시장성 유무 평가
시장성 유무에 대한 객관적 기준이 없어 평가 기준을 표준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시장성이 존재한다는 의미는 경쟁 업체 수에 대비하여 향후 점진적인 시장 점유율 확보가 가능하고 계획한 기간 내 즉 자금 소요 기간 내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 경쟁 업체 수에 대비하여 향후 점진적인 시장 점유율 확보가 가능한가
- 계획한 기간 내 손익분기점에 도달 가능한가.

2. 판매 계획과 판매 전략 수립
판매 전략을 감안하지 않는 시장성 분석은 무의미하다. 시장성 분석은 빈틈없는 판매 전략으로 연결될 때만이 그 가치가 인정된다. 판매 계획과 판매 전략 수립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 제품별 지역별 판매 계획을 수량 또는 금액으로 표시하여 '마케팅 계획'을 수립
- 판매 촉진과 판매 방법, 광고 매체와 광고 시기, 광고 선전비 등을 감안하여 '광고와 판촉 계획'을 수립
- 고객과의 접촉, 제품의 인도, 수금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하여 '판매비 계획'을 수립


출처: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 김우명, 청어, 2004

시장성 평가와 시장성 분석 (사업 타당성 검토 체크 포인트)

시장규모

- 예상되는 고객의 수는 어느 정도인가?
- 국내외 시장 규모는 금액으로 어느 정도인가?


경쟁성

- 경쟁자의 구체적인 분포와 지역별 분포는 어떠한가?
- 경쟁 제품과 비교했을 때 품질과 가격 관계는 유리한가?
- 판매 유통이 용이하고 물류 비용은 저렴한가?


시장의 장래성

- 잠재 고객이 어떤 추세로 증가하고 있는가?
- 새로운 창업 기업의 침투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 소비자 성향이 안정적이고 필요성이 증가하는가?


시장성 분석

- 시장의 특성과 구조, 잠재 수요, 유통 경로, 판매 시장의 환경,
경쟁상태, 시장 진입 가능성, 중장기 수급 전망등을 검토한다.


시장성 분석은 사업 성패의 기초 과정이고 사업 타당성 분석의 핵시 ㅁ요소가 된다. 객관적 근거 없이 막연하게 주관적으로 시장성 분석한다면 사업 실패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진다. 따라서 다소 귀찮고 복잡한 절차가 뒤따르더라도 최소한의 시장성 검토만큼은 창업자 스스로 진행해야 한다. 전문 조사 기관이나 컨설팅 회사와 상담하는 것은 그 다음에 고려해 볼 문제이다.


시장성 분석의 기본 목적

- 정확한 수요 예측
- 시설 투자 계획
- 판매 계획
- 생산 계획
- 판매 촉진 전략
- 구조 조정 전략 등의 활용
- 기업 가치를 증대 시킴


출처: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 김우명, 청어, 2004

시장 분석의 중요성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시장 조사와 시장 분석은 아주 복잡한 절차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사업계획의 다른 분야는 대체로 시장조사와 분석의 결과에 크게 좌우된다. 예상 시장 규모는 마케팅 계획, 생산 계획, 재무 계획 등 사업계획의 모든 부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장 조사와 시장 분석이 사업계획의 다른 부분보다 가장 먼저 실시되어야 하느 것도 그 때문이다.

시장 분석의 중요성

사업의 성공 여부는 주력 생산 제품과 서비스의 판매에 달려있다. 아무리 참신한 아이디어, 고도의 품질, 첨단 기술과 우수 인력 확보 등을 자랑하더라도 제품과 서비스가 팔리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제품과 서비스가 잘 팔리는 시장을 관찰하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장 분석이다. 시장 분석의 겨로가가 주관적이거나 막연해서는 곤란하다. 반드시 객관적 근거를 토대로 실제의 현장 조사에 의존해야 한다.
일반적인 시장 조사 방법을 먼저 염두에 두자.


1차적 방법
: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폭넓은 자료를 수집

장점
- 자료 수집이 용이하고 빠름
- 수집되는 정보가 다양하기 때문에 전체 동향이나 흐름,
세부 시장 조사의 방향 설정 등에 많은 도움이 됨.

단점
- 정보의 깊이가 얕음
- 꼭 필요한 정보로 다시 가공해야 함

1차적인 분석이 완료되면 2차적으로 세부적인 조사를 실시한다.

2차적 방법
: 직접 방문이나 컨설팅 회사의 도움을 받음

어떠한 방법을 적용하든 조사의 핵심을 결코 잊어선 안 된다.
실질적인 조사와 함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이어야 한다.


출처: 돈이 되는 사업계획서, 김우명, 청어, 2004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지 마라. 신중하라.

이 법칙을 빨간 펜으로 크게 써 놓고 절대 잊어버리지 마라!
자신이 아끼는 주제에 대해서 열정에 가득 차서 이야기할 때는 피룡 이상으로
많은 계획을 드러내기가 쉽다.

자신의 계획을 가슴 깊이 간직하라. 자신의 열정에 도취되지 말고
아이디어에 대해서 모호한 태도를 보이며 항상 조심하라.
그러나 결코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점 또한 명심해야 하낟.

경우에 따라서는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므로
그들과 오해가 생겨서는 안 된다. 확신이 있는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자신의 아이디어를
그대로 내보이지 않게 균형을 유지해야 하낟.

아이디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미국의 커피 열풍에 대한 소문이
영국의 커피 산업계에 팽배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우리는 의도를 드러내지 않은 채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정보를 수집하려 노력했다.

출처: 나의 첫 사업 계획서, 민음인, 2010.

시장조사 하는 법

시장

앞으로 종사하게 될 산업계를 연구하고 
자신의 사업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을지 연구한다.

맞닥뜨릴 시장의 크기는 어떠한가, 
즉 어느 정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가?

해당 업계의 경향은 어떠한가? 
해당 업계에서는 누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 
누가 어떤 업체를 소유하고 있는가? 
이 업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자신의 사업체 위치는 어디쯤으로 짐작하는가? 
어느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하고자 하는가?


고객

당신의 고객은 누구인가?
공통된 특징이 있는가? 
그들의 구매 습관은 무엇인가? 
구매하는 이유, 시가(회사에서, 집에서, 휴일에)
빈도(일년에 한 번, 매일 등)
구매 동기는 무엇인가(편리성, 품질, 처함 등)?
기존 시장에서 현재 형성되어 있는 가격 외에 
고객이 기꺼이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과 당신이 원하는 가격은 얼마인가?
그렇다면 그 가격을 어떻게 맞출 수 있는가?
당신 사업은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고객에게 추가적인 이익을 제시할 수 있는가?


경쟁

경쟁자는 누구인가?
경쟁자의 시장 점유율과 제안(가격, 포지셔닝 등)은 무엇인가?
경쟁자의 사업 수행 능력은 어떠한가?
당신의 사업을 경쟁자의 사업과 어떻게 차별화할 수 있는가?
제품 가격을 어떻게 설정할 것이낙?
미래의 경쟁자는 누구인가?


공급업자

공급업자는 누구인가?
공급하는 물품은 무엇인가?
가격은 어떠한가?
당신이 필요로 하는 물품을 공급하고 있는가?


출처: 나의 첫 사업 계획서, 민음인, 2010.

실천하지 않는 아이디어는 가치가 없다.

커피 리퍼블릭을 시작한 후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도 같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심지어는 우리보다 더 일찍부터 아이디어를 갖고 있던 경우도 많았다. 그들 역시 미국에 다녀온 적이 있엇고 우리를 사로잡은 커피 전문점 체험에 감동했다. 그들 역시 영국에 돌아와서는비슷한 사업을 시작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중 많은 사람들은 기술과 경험의 측면에서 볼 때 우리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아이디어를 추구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시도하지 않았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깨지기 쉽다. 타인의 비웃음이나 하품 정도에 무산될 수도 있다. 농담 한마디에도 상처받을 수 있고 관계도 없는 사람이 이마를 찌푸리기만 해도 걱정이 앞서 의기소침해질 수 있다.

- 찰스 브로더스

사업가를 구별하는 기준은 매우 간단하다. 다른 사람이 꿈만 꾸는 동안 사업가는 훌륭한 아이디어가 결실을 맺을 미래까지 바라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조사 전화 몇 통을 돌리다가 이른바 '전문가'에게서 사기가 꺾이는 몇 마디를 듣고 나면 아이디어를 사장시킨다. 그러나 사업가는 포기하지 않는다. 자신의 본능에만 의존해서 일을 추진해야 할 때라도 말이다. 사업가는 자신의 꿈을 위해 계속해서 열심히 뛴다. 사업가의 마음가짐은 이렇다.

"나는 경험도 없고 특별한 기술이나 자금도 없다.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인 방법도 아직 모른다. 하지만 계속할 것이다."

아마도 과거 어느 순간에 이와 유사한 상황에 처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째서 그때 일을 추진하지 않았떤가? 스스로 능력을 의심했던가? 결정적 시기에 다다랐을 때 아이디어에 사업성이 결여되었다고 느꼈던가? 아니면 사업에 좀 더 적합한 누군가에게 패배할 것이라고 생각했던가? 당신은 사업에 적합한 인물이 아니라고 지인을 설득했을지도 모른다. 사하 또한 커피 리퍼블릭을 시작할 당시 한 친구가 극구 만류했던 기억이 있다.

"도대체 매달 직원에게 월급을 주어야 하는 책임이 어떤 것인지 알기나 하니?"

사하는 알지 못했지만 어쨌든 시도했다. 헌신과 머뭇거림. 이 차이가 사업가를 결정한다.
사업가는 사업에 헌신하지만 사업가가 아닌 사람들은 행동하지 않는다.


출처: 나의 첫 사업 계획서, 민음인, 2010.

미션(Mission) vs 비전(Vision)

미션: '기여하고자 하는 임무'
비전: 미션수행을 위해 '되고자 하는 모습'

미션이란 '존재 목적 또는 사명감, 조직이나 사회에 내가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엇을 추구하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다. 개인의 입장에서는 내가 왜 존재하는지, 조직의 입장에서는 우리 조직이 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어떤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지, 그 존재목적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미션이다.

비전이란 '조직이나 개인의 미션수행을 위해 가장 적성에 맞고 잘할 수 있는 역량을 발휘하여 미래의 특정 시점에 이루고자 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미션이 성공적으로 달성된 생생한 모습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이건 조직이건, '특정 대상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무엇이 되고자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기도 하다.

간혹 어떤 사람들은 "미션이나 비전이나 비슷비슷한 것 같아서 이렇게 썼다가 저렇게도 썼다가 하는데, 그래도 되지 않나요? 라고 되묻기도 하지만 미션과 비전은 엄연히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이 세상의 사회적 약자를 위해 내 자신을 헌신하는 것'을 삶의 존재 목적으로 하는 두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들의 미션은 같다. 그러나 두 사람이 미션을 추구하기 위해 선택한 실행수단은 다를 수 있다. 한 사람은 범죄자로부터 선량한 국민을 보호하고자 하는 미션수행을 위해 경찰관이 되고자 할 수 있으며, 다른 한 사람은 사회적, 개인적 문제로 어려움에 처한 노인, 여성, 장애인 등을 도와주는 미션수행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한다. 즉, 이들의 미션은 같지만 미션을 추구하기 위해 미래의 일정 시점에 되고자 하는 모습에 해당하는 비전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 미션: 이 세상의 사회적 약자를 위해 내 자신을 헌신하는 것
- 비전:  미래의 일정 시점에 되고자 하는 모습.

A 비전: 선량한 국민 보호를 위해 경찰관이 되는 것.
B 비전: 취약층을 위한 사회복지사가 되는 것

출처: 회사 개념어 사진, 류랑도 지음

집단지성의 개념과 유형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과 정보의 협동적인 생산 또는 공유는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원리가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다. 
집단지성의 개념과 유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황주성·최서영, 2010).

집단지성의 개념은 1997년 미디어 철학자 레비(P. Levy)에 의해 본격적으로 탐구되었다. 
레비는 “모든 것을 다 아는 사람은 없지만 누구나 어떤 무엇인가를 알고 있기 때문에 완전한 지식은 인류 전체에 퍼져 있다”는 관점에서 집단지성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또한, 서로위키(J. Surowiecki)에 의하면 다양한 문제들이 주어졌을 경우 
한 개인이 집단보다 일관되게 나은 결과를 지속적으로 내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한다. 
그는 때로는 집단 전체가 집단에 속한 가장 똑똑한 사람보다 더 현명한 판단을 내리며, 
따라서 지적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집단을 지배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비록 사람들이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제한적 합리성 속에 살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불완전한 판단을 적절한 방법으로 합치면 집단의 지적 능력이 작용해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리드비터(C. Leadbeater)는 위키피디아 웹상의 집단지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집단지성이란 ‘웹이 창조한 집단적 사고방식, 집단적 놀이방식, 집단적 작업방식, 그리고 집단적 혁신방식’으로 규정했다. 그는 집단지성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협업적 창조성이 발휘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서로 다른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결합하기 쉬운 환경에서 왕성해진다고 보았다.

집단지성의 유형
서로 다른 조직의 성격에 따라 공유형, 기여형, 공동창조형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유형은 분산된 네트워크 내에 정보를 생산해 공유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한 네트워크
기여형은 웹상의 소셜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해 집단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함으로써, 
사람들이 집단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네트워크
공동창조형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협업하는 능력을 말하며, 
이를 통해 기여자들의 중요도나 결합, 역할 등을 재조정하는 네트워크

이런 유형 구분에 의하면, 이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원칙적으로 
답변자만이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네이버의 지식iN은 기여형인데 비해,

동일 주제에 대해 누구든지 쓰기, 고치기, 편집 및 토론을 통한 수정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위키피디아는 공동창조 유형에 속한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이에 따라 지식iN을 ‘개별적 집단지성’, 위키피디아를 ‘협업적 집단지성’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한편, 세계적으로는 위키피디아가 집단지성 사이트를 대표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지식iN에 비해 활용도나 콘텐츠의 품질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는 지적이 있다(김종우 외, 2010).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피디아 [Wikipedia] (출판기획물의 세계사, 2012,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년 9월 2일 화요일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로 블로그 유입 통계분석하기

[블로그팁]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로 블로그 유입 통계분석하기
Screenshot_7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방문자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 블로그에 어떤 키워드로 어떤 사람들이 어떻게 어디서 들어왔는지를 아는 것은 블로그의 지수를 높이고 방문자수를 늘리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죠! 물론 블로그 서비스마다 블로그 통계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하긴 하지만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다행히도 구글 애널리틱스를 이용하면 보다 더 효과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사실!


 index
구글 애널리틱스는 내 홈페이지에 추적기를 달아서 트래픽과 검색유입 등 전체적인 유입통계를 보여주는 웹도구입니다. 네이버나 다음 등의 가입형 서비스는 안타깝게도 사용할 수 없지만, 티스토리, 이글루스, 블로거(자동 생성), 워드프레스 등은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reenshot_4

* 구글 애널리틱스 활용하는 방법
1. www.google.com/analytics/ 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구글 아이디로 애널리틱스 사용에 대해서 한번 더 승인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2. 웹사이트 추가하기
Screenshot_1
새로운 계정을 추가합니다.


lightshot 
내 웹사이트를 추가하고자 할 때 입력해야 할 정보는 위와 같습니다. 이 중에서 블로그 주소만 정확하게 입력해주면 되고, 마지막에 Account Name이란 내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하는 이 블로그의 닉네임 정도로, 아무거나 써줘도 상관없습니다. 작성을 마친 후 Get Tracking ID 를 클릭하면 트래킹 아이디가 생성되는데요, 트래킹 아이디를 내 블로그의 html 소스에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3. 내 블로그에 트래킹 ID달기
생성된 스크립트 코드를 내 블로그의 스킨 html 소스에 넣어줍니다. 이미지 같이 Status가 Receiving Data로 바뀌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lightshot2
티스토리에 애널리틱스 트래킹ID 달기
티스토리의 경우 꾸미기html/css 편집 메뉴에서 skin.html 부분에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ctrl+f]를 눌러 </head>를 검색하여 </head> 바로 윗부분에 생성된 스크립트를 복사해 넣어주면 됩니다. html 소스를 저장하고 난 후에 하루 정도 후에 애널리틱스 트래킹이 작동하기 시작합니다.



lightshot4 
워드프레스는 Google Analytics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트래킹 코드 UA-xxxxxx 만 넣고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4. 애널리틱스 활용하기
직접 보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네이버,다음,티스토리 등 기본 블로그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위주로 둘러볼까요?
Screenshot_2

먼저 방문자에 대한 전체적인 정보: 어느 나라 사람인지, 얼마나 머무르는지 등을 체크해주고, 특히 Visitors Flow는 주로 방문자들이 어디서 어떻게 가는지를 보여줍니다.
Screenshot_6


처음에 어떤 페이지로 들어와서 두 번째에는 어디로 가는지 3,4번째 쭉쭉 보여주네요!
Screenshot_5

또한 내 블로그 페이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주는데요, 일단 상위 10개 포스트를 보여줍니다. 티스토리 유저들에게 편할듯하네요^^ 그리고 해당 페이지에서 몇 분 동안 머무르는지, 이탈률은 어떤지 까지 보여줍니다. 이탈률이 높다는 건 2차 트래픽 유도가 안 된다는 것이겠죠?

애널리틱스의 통계결과를 잘 분석하면 내 블로그에 더욱 좋을 방법이 무엇일지 강구해보고 더 좋은 블로그를 만들어봅시다!!

2014년 8월 30일 토요일

웹 로그 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10가지 방안 (10 ways to improve accuracy of web log analysis)

1. 데이터 수집에 1사 쿠키를 사용하는 툴을 선택한다.
2. 방문자 식별기준을 명확히 하라. 쿠키가 지워진다고 IP주소 정보를 이용하려 해선 안 된다.
차라리 그 방문자를 무시하는 편이 더 간단하다.
3. 웹 로봇이나 서버 성능 모니터처럼 사람이 행하지 않은 모든 활동은 리포트에서 제거하거나 별도로 구분하여 보고한다.
4. 모든 것을 추적하라. 방문페이지(Landing page) 추적에 제한을 두지 말고 파일 다운로드, 내부 검색어,
외부 링크를 포함한 모든 웹사이트 활동을 추적한다.
5. 웹사이트 페이지 태그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대규모 사이트라면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정도).
사이트 콘텐츠 변경이 때로는 페이지 태그를 손상시키거나 지우거나 분실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6.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명확하고 읽기 쉽게 표시한다.
(유럽연합에서는 이것을 법으로 요구한다.)
이렇게 하면 방문자 스스로가 어떻게 추적되는지를 이해하고
쿠키에 덜 민감하게 함으로써 방문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7. 24시간이 지나기 전에 데이터를 판단하는 것은 피한다. 그 데이터가 가장 부정확하다.
8. 리다이렉션 URL을 주기적으로 테스트해 추적 파라미터를 유지하는지 확인한다.
9. 비용을 지불한 모든 온라인 캠페인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소스와 구별하기 위해서 URL 추적을 이용함을 명심한다.
10. 고유한 방문자 지표 대신 방문 지표를 사용한다. 고유한 방문자의 경우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브라이언 클리프톤.『구글 애널리틱스』. 에이콘. 2014.

웹 로그 분석 데이터의 정확성 (Data accuracy of web log analysis)

로그 파일에서 방문자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Log file)

동적으로 할당된 IP주소
클라이언트 사이드의 캐시 페이지
웹 로봇의 방문자 수


페이지 태그에서 방문자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Page tag)

태그 누락에 의한 설정 오류
페이지 로딩을 방해하는 자바스크립트 에러
페이지 태그를 차단하는 방화벽
기존 모바일 사용자 추적


쿠키를 사용할 때 방문자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Cookies)

방문자의 쿠키 거부 또는 삭제
사용자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소유하거나 공유
다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동일 사용자
같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다수 사용자
부정확성의 여지를 남기는 지연 시간
데이터 수집을 왜곡하는 오프라인 방문

브라이언 클리프톤.『구글 애널리틱스』. 에이콘. 2014.

블로그 개설에 대한 짧은 생각(Self interview)

1. Why is Google Blogger?
 Understand google system and make good use.

구글 시스템의 이해와 유용한 사용을 위해

2. Blog Contents Tree
Yet, I don't have specific plan but I want to share various information with people in related area.

아직 특별한 컨텐츠 구성에 대한 계획은 없다.
그러나 작은 정보라도 관련 업계 사람들과 공유하며 지식을 넓혀나가고 싶다.

3. What do you think about sharing information.
It is good but implementation is not easy.
Above all, to share information I should have mental attitude and
study a lot. When I completely understand somthning, I can share and explain them.
Don't forget that the more I share information, the higher the information value is.

내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소비하고 누군가에게 알려준다고 그 가치가 소멸되지 않는다.
오히려 알려주고 공유함으로서 그 과정에서 나도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나의 가치 또한 올라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순간의 감정과 순간의 욕심으로
나 혼자만 정보를 가지고 있고 독점하려고 하는 마음은 어리석은 것이다.
내가 어디선가 정보를 구한 것처럼 누구나 그 정보를 구할 수 있는 것이고
그렇게 정보를 공유한 곳이 있기 때문에 나도 얻을 수 있었다고 생각하자.
누군가 정보를 알려주었다고 해서 그 사람의 가치가 떨어지는 일은 없다.
하나의 정보를 알려주었다고 누군가의 가치가 한 순간에 떨어진다면
그 사람은 원래 그것밖에 없던 사람인 것이다. 꾸준히 배우고 익히고 하는 사람은
가치가 떨어지는 일이 없으며, 다른 어떤 곳에서든 분명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사실은 A라는 정보에 대해 상대방은 내가 생각하는 것만큼
A를 가치있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고, 1, 2, 3이라는 레벨이 있다고 했을 때
1을 가진 사람에게 2를 가진 사람이 정보를 알려준다고 한들 바로 2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최소한 어느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야 비로소 그 다음 레벨에 도달 할 수 있다는 점은
항상 잊지 말고 있어야 할 것 같다.그 사람이 2로 올라오느라고 열심히일 때 나는 또 3을 가면 된다.
뒤 돌아보지 말고 앞을 향해 간다면 사사로운 감정으로 시간낭비하는 일은 없어질 것이다.


2014년 8월 29일 금요일

웹 로그분석 항목

기본적인 로그분석 항목
  • 하루 방무자 수(Daily visitor)
  • 평균 전환율(판매, 등록, 다운로드 등) (Average conversion rate)
  • 최다 방문 페이지 (The most visit page)
  • 웹사이트 평균 방문 시간, 재방문율(Web site average visit time, revisit)
  • 평균 방문 심도(Depth), 리퍼러(Referrer)별 편차
  • 지역별 분포, 사용언어(Region rate, language)
  • 사이트 방문 시간(Site stay time)
    사이트 방문자가 계속 체류하는지, 아니면 단일 페이지 방문 후 바로 사이트를 떠나는 지 여부

전자상거래의 경우(case: e-commerce)
  • 웹사이트가 벌어들이는 수익과 고객의 유입 출처
    (profit through website and customer inflow URL)
  •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과 평균 주문 수량
    (To have it be a No.1 sale and average order)

추가적인 로그분석 항목
  • 방문자 1인당 가치
  • 웹페이지당 가치
  • 신규 방문자 대비 재방문자의 ROI 차이
  • 마케팅 매체나 광고 캠페인 소스에 따른 사이트 방문과 전환율 차이
  • 페이지뷰 또는 리퍼링 소스(Referring source)에 따른 이탈률 차이
  • 사이트 방문자의 참여 정도
  • 사이틑 내부 검색의 전환율 도움 여부
  • 방문자가 고객이 되기까지 소요되는 방문 횟수와 소요 시간

웹사이트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방문자의 사용자 경험이며,
웹 로그 분석 도구는 사용자 경험을 신층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한 가지 명심할 점은 웹로그 분석은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또한 방문자의 행동 패턴이 어떤지, 웹사이트 상의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되는지는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리포트 분석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
전문가를 고용한다든가 기존 직원을 교육한다든가,
외부 컨설턴트를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든가,
아니면 이 모두를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브라이언 클리프톤.『구글 애널리틱스』. 에이콘. 2014.

구글 애널리틱스 용어 정리(Google analytics' term)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코드(GATC)
웹 페이지마다 삽입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페이지태그)
Javascript code that is inserted in each web page.

리퍼러(Referrer)
사이트 유입 직전 클릭한 외부 페이지 URL
clicked web page URL just before entering this site.

매체(Medium)
캠페인 추적 시 방문자가 해당 사이트 링크를 수신하는 방법
예) 검색엔진 링크, 뉴스레터, 리퍼럴, 직접 웹사이트 주소 입력(direct)

목표 전환(Goal conversion)
종종 목표나 전환으로 줄여서 불르기도 함
일반 페이지보다 좀 더 가치있는 바람직한 액션
예) 구매확정 페이지, 가입 축하 페이지,, 다운로드 페이지 등

방문 페이지(Landing page)
사이트 방문시 도착한 첫 페이지(=인입페이지 entrance page)

세션(session)
'visit' 또는 'visit session'이라고도 하며 방문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활동한 기간
방문자가 웹브라우저를 닫은 시점이나 또는 웹사이트에서 아무런 액션 없이 30초가 경과되면 세션이 완료됨. 세션 타임아웃 값이 업계 평균은 통상적으로 30분이지만 조정 가능

소스(Source)
캠페인 추적 시 소스는 추천의 출처를 말함.
예) 구글 검색엔진, 야후 검색엔진, 뉴스레터 이름 또는 추천 웹사이트 이름

유입경로(Funnel)
목표 전환으로 인도하는 잘 정의된 프로세스(보통 웹 페이지를 말함)

이탈 고객(Bounced visitor)
웹사이트 들어와서 한 페이지만 보고 더 이상 아무런 액션을 하지 않는 방문자.
보통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은 것으로 간주

캠페인(Campaign)
유료 광고를 의미함.
예)도서 세일(유료 검색 캠페인 용), 봄 세일(배너 캠페인), 1월 뉴스레터(이메일 광고) 등

투자수익(ROI: Return on investment)
계산공식: (수익-비용)/비용 (백분율로 표시)

URL(Uniform Resource Lcator)
인터넷에서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는 수단

구성요소
예) http://www.mysite.com/products/widget1.php
프로토콜 유형(http)
호스트 도메인 이름(mysite.com)
디렉토리 경로(/products/)
파일명 (widget1.php)

브라이언 클리프톤.『구글 애널리틱스』. 에이콘. 2014.

웹 트래픽 정보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web traffic information)

사업주나 임원진도 측정의 중요성을 알긴 하지만, 측정 도구가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렇게 생각하는 가장 크 이유는 단지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게 되면 명확해지기보다 과다한 데이터로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지니스의 다른 부분들과 통합되지 않고 사일로(silo)처럼 트랜잭션이 없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가 대체로 겪게 되는 문제다. 전략적으로 웹 사이트를 측정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초반에 가장 중요한 것은 웹사이트 측정이 비지니스에 어떤 가치를 줄 것인지 정의하는 것이다. 비지니스 전략상 웹사이트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면 웹 사이트 측정도 중요하게 여겨져야 한다.

브라이언 클리프톤.『구글 애널리틱스』. 에이콘. 2014.


요약

- 웹 분석의 중요성은 인지하나, 측정과정에서의 과다한 데이터 혼란이 우려
- 거래가 없는 웹사이트의 경우 더욱 측정과정의 투자를 망설임(시간=비용)
- 모든 비지니스 사이트는 목적성을 가지고 있음
- 비지니스 목적에 맞는 전략을 웹 분석을 통해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
- 웹 분석이 비지니스에 어떤 가치를 줄 것인지 정의하는 것이 중요